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슈다반사/정부지원정책

노령연금 금액(최신)

by windyhouse 2023. 11. 10.
반응형

노후 대비책의 일환으로서 개인연금, 부동산, 재태크 등 많은 방법이 있습니다. 이중, 기초가 되고 의무가입을 함으로써 대비하고 있는 국민연금, 노령연금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수시로 확인을 하고 있어야 나의 노후에 대한 대비책을 정확하게 세울 수 있을 것입니다.

노령연금이란 무엇인지, 수급요건 및 급여수준과 노령연금 예상수령액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헷갈릴 수 있는 노령연금과 기초연금의 차이점 까지 알아봄으로서 국민연금을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노령연금1 노령연금2노령연금3
노령연금

1. 노령연금이란?

노령연금이란 국민연금의 기초과 되는 급여 입니다. 국민연금 가입자가 나이가 들어 더이상 소득이 없을 경우, 생활의 안정을 위해 지급되는 급여 입니다.

  • 가입기간 : 가입기간 10년이상
  • 지급시기 : 출생연도별 지급개시연령시

위의 조건 충족시 노령연금 급여가 지급되게 됩니다. 지급개시 연령은 1953년생부터 상향되어 1969년 이후 출생자 부터는 65세 부터 연금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노령연금은 가입기간, 연령, 소득활동 유무에 따라 노령연금, 조기노령연금이 있습니다. 또한, 연금 지급시기를 연기하여 연기연금으로 수령받을 수 있게 됩니다.

☞조기노령연금, 연금연기 알아보기☜

 

국민연금 조기수령 조건(수령액 높이기)

안정적인 노후를 위해 필요한 국민연금, 수령시기에 맞추어 수령하게 된다면 좋은테지만 예기치 못한 일이 발생하여 좀더 일찍 받아야 할 일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조기퇴직이나 퇴직이후 연

star.sweetwindy88.com

노령연금에 대한 지급 개시연령은 아래 사진과 같습니다.

노령연금연령
출처. 국민연금

노령연금4 노령연금5노령연금6
노령연금

2. 노령연금 수급요건 및 급여수준

노령연금의 수급요건은 급여 수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또한, 노령연금의 종류를 일반 노령연금으로 할것인지 아니면 조기 노령연금으로 수급 할 것인지에 따라서도 조건이 달라지게 되므로 이러한 상황들을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노령연금 수급요건
출처 국민연금

출생연도별 지급개시연령은 아래와 같습니다.

노령연금 지급개시 조건
출처 국민연금

☞국민연금 수령액확인☜

국민연금1국민연금2 국민연금3
국민연금

3. 노령연금 금액

노령연금 금액산정 방식은   {1.275*(A+B)*P18/P+...+1.2*(A+B)*P23/P}(1+0.05n/12) x 지급률 입니다.

  • ○ "A" - 연금수급 전 3년간 전체가입자의 평균소득월액의 평균액,
  • ○ "B" - 가입자 개인의 가입기간중 기준소득월액의 평균액, "n"- 20년초과 가입월수, "P"-전체가입월수, "P18~P23":연도별 가입월수
    * 노령연금의 지급률 : 가입기간 10년 50%(1개월마다 5/12% 증가)
    * 2023년 비례상수 1.275(소득대체율 42.5%)

만약 가입기간중 소득월액 평균이 200만원, 연금보험료 9%로 18만원일때 가입기간 10년 이라면 노령연금금액은 247,610원, 15년 369,130원, 20년일때 490,660원이 됩니다.

☞연금 계산기☜

노령연금금액 노령연금금액2노령연금금액3
노령연금금액

4. 노령연금과 기초연금의 차이

노령연금과 기초연금의 차이는 간단하게 국민연금의 가입 유무에 따라 나뉘어 지게 됩니다. 노령연금은 국민연금의 일환으로서 국민연금 가입자가 지급개시일이 되면 받게 되는 월급의 형태의 연금입니다. 반면, 국민연금 제도가 도입된지 많은 기간이 흐르지 않았기 때문에 국민연금 제도가 도입되기 이전에 출생하신 분, 노후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계시는 어르신들을 위해서 마련되어진 제도가 기초연금입니다. 두가지 연금 모두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생활안정 제도인것은 동일하지만 약간의 차이점이 있어 헷갈리시는 분들도 많이 계실것 같습니다.

☞기초노령연금 신청하기☜

국민연금 또한, 노령연금, 조기노령연금, 유족연금, 장애연금등으로 나뉘어지게 되며 모두 생활안정을 위해 마련되어진 복지제도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사고나 질병과 같이 생애는 불안요소가 많이 존재하며 기대수명또한 늘어난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기 때문에 연금제도에 대한 깊은 이해와 관심을 필수적인 요소이며 이러한 많은 관심이 더 나은 연금제도로 정착이 될 수 있는 발전의 원동력이 될수 있을것입니다.

국민연금과 노령연금국민연금과 노령연금2국민연금과 노령연금3국민연금과 노령연금4국민연금과 노령연금5국민연금과 노령연금6국민연금과 노령연금7국민연금과 노령연금8국민연금과 노령연금9
국민연금과 노령연금, 기초연금

 


loading